위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시랑리 416-3
전화번호: 051)722-7744
홈페이지: www.yongkungsa.or.kr
--------------------------------------------------------------------------------
개요
해동 용궁사는 1376년 공민왕의 왕사였던 나옹화상의 창건으로 한국삼대관음성지의 한 곳이며, 바다와 용과 관음대불이 조화를 이루어 그 어느 곳보다 신앙의 깊은 뜻을 담고 있으며, 진심으로 기도를 하면 누구나 꼭 현몽을 받고 한가지 소원을 이루는 염험한 곳으로 유명하다.
주차장에서 내려 2분만 걸어가면 동양철학의 육십갑자 십이지상이 봉안되어 있고, 우리 모두의 안정운행을 기원하는 교통 안전 기원 탑이 조심운전을 당부한다.
풍광을 찬탄한 춘원 이광수의 '시비와 청산은 나를 보고 말 없이 살라 하고 창공은 나를 보고 티 없이 살라 하네' 라고 노래한 저 유명한 나옹화상의 시귀는 잠시나마 나 자신을 다시 한번 돌아보게 한다.
--------------------------------------------------------------------------------
상세정보-항목1
용궁사 둘러보기
1. 용궁사 전경
`바다도 좋아하고 청산도 좋다거늘 바다와 청산이 하나 곳에 뫼단말가 하물며 청풍명월 있으니 여기 곳 선경인가 하노라'
춘원 이광수의 유명한 싯귀처럼 해운대 동백섬, 송정을 잇는 달맞이 고개길, 바다를 끼고 산허리를 돌아넘는 구비구비 산길은 한폭의 그림같이 아름답기로 이름나 있다.
2. 대웅전
대웅전은 일명 법당이라고 부르는데 도량 상단 제일 중심이 되는 건물로서 1970년경 정암스님이 중창한 건물이다. 그러나 지금은 낡고 협소하여 수년내로 중창해야 할 정도다.
3. 굴법당
미륵전인 굴법당은 대웅전 우측에 있는 비지정문화재로서 이름 그대로 굴법당인데, 여기는 용궁사 최초 창건 당시부터 미륵좌석 석불을 모시고 있다. 특히 미륵전은 자손이 없는 분이 기도하면 자손을 얻는다하여 득남불이라고 한다.
4. 용왕당
용왕당은 대웅전 우측에 자리하고 있다.
대략 사찰리 산에 위치해 있음으로 도량주인 산신각이 대웅전 뒤편이나 옆에 있다. 그러나 용궁사는 바다가 중심이기에 용왕단이 크게 자리잡고 있다.
5. 해수관음대불
해수는 바다물이라는 뜻이요. 관음이란 관세음 보살님의 약칭이니 바다에 계시는 아주 큰 관세음보살님이란 뜻이다. 불경에 이르기를 관세음 보살님은 바닷가 외로운 곳에 상주하신다고 하셨다. 또한 관세음보살님은 33가지의 방편으로 중생들에게 나누시는데 관세음 보살님의 명호를 열심히 부르면 아무리 어려운 일도 안될 것이 없다고 하셨다. 단일 석재로는 한국 최대의 석상이다.
6. 약사여래불
약사여래불은 이름 그대로 의약사 부처님이시니, 우리 중생의 마음의 병고나 신체적 병고를 치유해 주시는 부처님이시다. 특히 이곳은 터가 좋고, 부처님이 영험하시여 많은 불자님이 불치의 병을 고치고 성불을 받으니 일명 동해 갓바위 부처님으로 유명하다.
7. 해맞이 바위
해맞이 바위는 해가 제일 먼저 뜨는 것을 볼 수 있는 곳이라 하여 불여진 이름이다. 삼불문을 지나 백팔계단을 중간쯤 내려오면 바다로 가는 왼쪽길이 있는데 맨 끝자락에 위치한 바위가 해맞이 바위이다. 용궁사 하면 동해바다, 바로 발밑에 바닷물이 철석철석 산과 물이 가장 잘 어우러진 그림 같은 절이다. 또 풍수지리를 전혀 모르는 보통 사람들도 보기만 하면 한눈에 배산임수에 천하명당임을 알 수 있다.
8. 포대화상
용궁사 백팔계단 초입에 서 있는 포대화상은 코와 배를 만지면 득남을 한다는 소문에 수많은 사람들이 손때가 묻어 있어 또 다른 신비감을 주고 있다.
--------------------------------------------------------------------------------
상세정보-항목2
용궁사 8경
1. 아침일출
용궁사의 일출은 정말 장엄하다. 저 수평선에서 여명이 서서히 밝아지며 붉은 태양이 떠오르는 것을 보면 감격과 환히가 가슴에 솟구친다.
2. 만경창파
일망무제한 망망대해에서 밀려오는 파도노을 바위에 부딪치는 물보라는 보는 사람만이 그 격정의 희열을 느낄 수 있다.
3. 추야명월
보름달 밝은 밤에 백팔 계단을 내려오면 그 운치가 말로 표현할 수 없이 환상적이다.
4. 운무조사
안개낀 아침에 용궁사 풍경은 꿈인지 선경인지 착각할 정도이다. 그래서 산 이름을 봉래산(신선이 노는 곳)이라 했던가.
5. 시랑망해
시랑대에 올라가 망망대해를 바라보면 자기도 모르게 무아의 경지에 이른다.
6. 봉축야경
4월 초파일 부처님 오신 날 무명을 밝히는 봉축연등을 약사전에서 바라보면 정말 장관이다.
7. 석양모종
해저문 석양에 들려오는 종소리는 듣는 사람의 심금을 울린다. 가는 사람은 아쉬워 울고, 오는 사람은 좋아서 울고..
8. 벚꽃놀이
봄이면 절 입구에 벚꽃이 너무도 아름답다. 화창한 봄 날씨에 벚꽃이 만발한데 무릉도원인들 이보다 좋을손가.
--------------------------------------------------------------------------------
상세정보-항목3
찾아오시는 길
1. 김해 공항 이용
일반버스 307번-벡스코 하차-일반버스 181번-용궁사 국립수산과학원 하차
2. 기차 이용
-버스 이용
일반버스 40번-신동아 아파트 하차-해운대역 181번-용궁사 국립수산과학원 하차
좌석버스 1001번-신도시 시장 하차-일반버스 181번-용궁사 국립수산과학원 하차
좌석버스 1003번-기장 2 주공 하차-일반버스 181번-용궁사 국립수산과학원 하차
-지하철 이용
지하철 2호선 해운대역 하차(7번 출구)-일반버스 181번-용궁사 국립수산과학원 하차
3.시외버스 이용
-노포동 종합버스터미널
좌석버스 1002번-센텀시티역 벡스코 하차-일반버스 181번-용궁사 국립수산과학원 하차
-사상 시외버스터미널
일반버스 31번-벡스코 하차-일반버스 181번-용궁사 국립수산과학원 하차
4. 자가용 이용
-경부고속도로
부산-해운대방향 도시고속도로-원동 톨게이트-달맞이 고개-송정해수욕장-용궁사
-남해고속도로
북부산-만덕 2터널-돌래교차로-안락교차로-원동 IC삼거리-해운대경찰서-해운대 해수욕장-달맞이고개-송정해수욕장-용궁사
--------------------------------------------------------------------------------
정보제공자
world_third@allofthings.co.kr / miry0424@skype.co.kr
--------------------------------------------------------------------------------
관련 서비스
-공항, 기차역(부산역), 버스터미널에서 용궁사 입구까지 대중교통(택시, 버스, 지하철)을 이용한 픽업 서비스
-반나절 용궁사 사찰 가이드 서비스(간단한 영어 대화와 사찰에 대한 영문 정보 팜플렛 서비스 제공 포함)
-그 외 숙박/교통 예약 대행 서비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