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번호: 051) 624-6343
홈페이지: www.museum.busan.kr
개요
1978년 7월 11일 개관이래 문화유산의 수집, 보존, 전시, 연구, 발굴조사, 박물관교육 등 부산지역 전통문화 전승에 앞장서온 부산박물관은 복천박물관, 동삼동패총전시관, 부산근대역사관, 임시수도기념관 등 전문박물관을 산하에 두고있는 부산의 대표적 종합역사박물관으로 소장유물은 총 22,000여 점이며 그 중 1,300여 점의 유물을 상설전시하고 있습니다.
제 2전시관 건립과 함게 부산의 역사와 문화를 중심으로 기존전시구성을 전면 개편하고, 총 10개의 상설전시실과 기획전시실, 기증실, 문화정보검색실, 문헌자료실, 역사체험실, 강당, 자원봉사자실, 수장고, 보존처리실 등의 시설을 갖추어 2002년 5월 3일 새로운 모습으로 다시 문을 열었습니다.
상세정보-항목1
1. 관람시간: 09:00~18:00/ 매표시간: 09:00~17:00
2. 휴관일
1월 1일, 매주 월요일(공휴일인 경우 다음날 휴관)
3. 관람료(토요일은 무료입장)
구분 | 개인 | 단체 | 비고 |
어른 | 500원 | 300원 | 25세 이상~64세 이하 |
청소년/군인 | 300원 | 200원 | 13세 이상~24세 이하 |
노인/어린이/장애인 | 무료 | 무료 | 65세 이상 노인/12세 이하 어린이 등 |
-장애우와 외국인 관람객을 위한 전시안내 음성정보기(Audio Guide)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휠체어, 유모차, 물품보관소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전시실에서 사진촬영, 음식물 반입, 흡연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상세정보-항목2
1. 제1전시관 2층.
1. 선사실[부산의 자연환경/ 구석시시대의 부산/신석기시대의 부산/청동기시대의 부산]
부산의 선사시대의 주요유적인 해운대 구석기 유적과 동삼동패총.범방패총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선사시대 부산의 문화상을 살펴볼 수 있도록 전시하였습니다.
2. 삼한/삼국실[변한시대의 부산/가야의 성립과 발전]
고대국가 성립기의 삼한, 삼국시대의 부산지역의 전반적인 문화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3. 통일신라실[일상생활용품/장례문화/불교문화]
통일신라 문화양상을 박물관 소장자료 및 출토자료를 중심으로 전시하였습니다.
4. 고려실[만덕사지출토유물/ 동평현성지출토 유물/ 부산지역출토자기류/ 불교문화]
고려시대의 문화양상을 출토자료를 중심으로 전시하였습니다.
5. 조선실: 행정[동래부동헌 자료/ 동래부사 자료/ 다대포첨사 자료]
조선시대 전기에 동래부 동헌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던 행정제도를 전시하였습니다.
6. 조선실: 교육[교육관련 문서/ 문방사우]
안락서원과 동래향교를 중심으로 펼친 교육활동을 전시하였습니다.
2. 제2 전시관 2층
1. 한일관계사실[부산지방의 관방체제/ 임진왜란/ 조선통신사/ 왜관]
부산을 중심으로 펼쳐졌던 일본과의 한일관계를 사건별로 나누어서 전시하였습니다.
2. 생활문화실[부산지방의 산업]
부산의 생활문화를 전시하였습니다.
3. 부산민속실[동래야류 등 15개]
부산의 민속놀이를 분류별로 나누어서 전시하였습니다.
4. 근대실[밀려오는 외세/근대도시로의 변모/민족을 자존을 지킨 부산인/교육활동/부산의 생활과 문화]
1876년 일본에 의하여 강제개항 한 후 일본의 식민지하에서도 민족을 자존을 지키면서 신문명을 받아들여 근대화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한 부산을 조명하였습니다.
5. 현대실[1945년 해방/ 미군정의 실시/ 한국전쟁]
1945년 해방이후 한국전쟁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한 부산의 모습을 조명하였습니다.
상세정보-항목3
찾아가는 방법
1. 김해공항
공항버스 201번-서면하차-일반버스 25번, 68번, 93번 환승- 대연역 하차
2. 부산역
일반버스 134번-대연역 하차
3. 부산시티투어버스 이용 가능
해운대 방향-부산박물관 하차

정보제공자
world_third@allofthings.co.kr / miry0424@skype.co.kr
관련 서비스
-공항, 기차역(부산역), 버스터미널에서 박물관 입구까지 대중교통(택시, 버스, 지하철)을 이용한 픽업 서비스
-그 외 숙박/ 교통 예약 대행 서비스
댓글 없음:
댓글 쓰기